기사 메일전송
이찬열 의원, ‘칼퇴근 법’ 20대 국회 1호 발의 - ‘저녁있는 삶’ 법제화로 일과 가정 양립 및 고용창출 도모
  • 기사등록 2016-05-29 11:30:00
기사수정

 【시사인경제】더불어민주당 이찬열 의원(수원 장안)은 20대 국회가 개원하는 30일, 1호 법안으로 장시간 근로관행을 폐지하기 위한 근로기준법, 부담금관리기본법, 고용정책기본법 등 이른바 ‘칼퇴근 법’을 패키지로 발의한다.

 

‘칼퇴근 법’이란 근로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기준을 초과하여 근로시간을 유지하는 기업에 대해 부담금을 부과하는 법안이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저녁있는 삶’이 한층 더 가까워 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이 의원은 우선 근로기준법 개정을 통해 포괄산정임금계약을 제한하여 이를 위반하는 사용자를 처벌하고,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기록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이 의원은 각 기업들이 근로시간을 공시하고, 초과근무를 기준 이상으로 시킨 사업주에게 ‘장시간근로유발부담금’을 부담시키는 내용이 담긴 고용정책 기본법 및 부담금 설치 근거를 마련한 부담금관리 기본법 개정안도 발의한다.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인 저출산 해결을 위하여,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셋째 이후 자녀에 대해서도 교육비를 지원하는 ‘교육비 경감법’ (초·중등 교육법, 고등교육법, 교육기본법)도 패키지로 발의한다.

 

이 의원은 “우리나라는 경제적 수준에 비해, 국민들의 행복지수가 턱없이 낮다. 일과 가정이 행복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며, “장시간 근로가 미덕으로 포장되는 문화가 근절돼, 모든 국민이 ‘저녁이 있는 삶’을 당당하게 누릴 수 있는 세상을 희망한다. 관련 법안들이 조속히 통과돼, 일과 가정의 양립, 고용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의 장시간 근로는 심각한 수준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은 2,057시간으로 OECD 평균 노동시간인 1,706시간보다 무려 300시간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장시간 근로관행은 근로자의 건강을 해치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방해할 뿐 아니라, 고용 창출의 제약이 되고 있다. 이에 박근혜 정부는 ‘근로시간 단축’을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고, 더불어민주당도 포괄임금제 전면 금지 및 출퇴근시간 기록 보전 의무화 등을 통한 노동시간 단축을 약속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9503
  • 기사등록 2016-05-29 11:30: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화성시인재육성재단,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모집 화성시인재육성재단은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24명을 5월 16일부터 28일까지 모집한다. 본인 또는 부모가 화성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또는 휴학생이라면 신청이 가능하다. 서류 심사 및 면접 심사를 거쳐 선정된 참여자들은 탐방 전 발대식, 팀빌딩, 정책제안 교육 등을 들으며 글로벌 역량을 키운 뒤 7월 28일부.
  2. “경기북부 분도, 사기?” 이재명 후보 발언에 경기도민 분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경기북부 분도와 관련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20일 의정부에서 열린 거리유세에서 이 후보는 "북부를 분리하면 규제 완화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러한 주장들은 실제로 관련이 없는 문제들을 마치 연결된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 발언은 경기북부 지역 ...
  3. 신미숙 도의원, 소공인 경제 활성화 위한 정담회 개최 신미숙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의원은 지난 21일, 경기도의회 화성상담소에서 화성시동탄도시형소공인협의회 및 경기도 소상공인과 관계자들과 함께 소공인 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정담회를 가졌다.이번 정담회에서는 ▲공동장비 실효성 제고, ▲내수·수출 균형 성장 전략, ▲판로 확대를 위한 박람회 운영 등 소공인의 실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