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금융기관과 각종 단체들은, 그 설립 취지 자체가 공동체를 위한 상생과 협력에 있다. 신협, 단위농협, 새마을금고 등과 같은 금융조직뿐만 아니라 새마을지회, 체육회, 상인회, 시민병원 등 지역 단체들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발전을 위한 실질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몇몇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우려는 이렇다. 바로 장기 재직에 따른 공공성 약화와 도덕적 책임의식 저하다. 자리를 오래 지키는 것 자체가 반드시 문제는 아니지만, 오랜 기간 같은 인물이 경기인뉴스 홍충선 대표이사장이나 사무국장 등의 직책을 맡으면서 조직 운영이 폐쇄적으로 변하고, 구성원 간 소통과 감시 기능이 약화되는 현상은 분명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일부 지역 금융기관에서 동일 인물이 오랜 기간 이사장직을 맡으면서 조합 운영이 특정 방식으로 고착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사회의 다양성이 부족하거나, 조합원들의 실질적 참여가 제한되는 구조 속에서 건전한 내부 견제와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지역 단체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제기된다. 사무국장직이 수년간 고정된 채 유지되다 보면, 단체 운영이 보다 폭넓은 주민 참여보다는 기존 운영진 중심으로 굳어지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단체의 목적이 흐려지고, 활동의 활력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중요한 것은 이런 현상이 구조적인 맹점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지역 조직은 임기제는 있으나, 실질적인 순환 구조나 내부 견제 장치가 약하고, 외부 감시도 충분하지 않다. 이에 따라, 특정 인물 중심의 운영이 장기화되면서 자연스럽게 긴장감이 사라지고, ‘원래 그렇게 해왔다’는 관례가 조직을 지배하게 된다.
이처럼 장기 재직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이를 당연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있다. 공익 조직에서의 책임 있는 리더십은 자리의 ‘오래된 연륜’이 아닌, 주기적인 교체를 통한 조직의 건강한 순환과 투명성 확보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첫째, 지역 금융기관과 단체들이 스스로 내부 규정을 정비하고, 임원 교체 주기와 참여 확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의사결정과 재정 운영에 있어 조합원과 회원들의 접근성과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투명한 회의록 공개, 예산 사용 내역의 정기 보고는 신뢰를 지키는 기본이다.
셋째, 외부 평가와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개방성을 유지해야 한다. 외부 시선은 간섭이 아니라 균형을 위한 도움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주민과 조합원들도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지역 조직은 누구 한 사람의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공동 자산이다. “오래 했으니 잘할 것”이라는 막연한 신뢰보다는, 지속적인 감시와 참여를 통해 신뢰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한다.
자리는 오래 앉아 있으면 불편해지는 법이다. 조직도 마찬가지다. 적절한 변화와 순환이 없다면, 공동체가 기대한 공익성은 퇴색되고, 결국에는 조직 자체가 주민들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오래된 구조를 돌아보고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만들어야 할 시점이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