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조사결과, '비대면 혹은 원격 진료'에 대해 ‘도입해야 한다’ 43.8%, ‘안 된다' 26.9%로 나타났다. (자료=리얼미터 제공)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로 비대면 혹은 원격 진료 허용에 관한 정부의 논의가 알려진 가운데, ‘도입해야 한다’라는 의견이 43.8%로 ‘안 된다’는 의견 26.9%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29.3%에 달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비대면 혹 원격진료 도입 여부에 대한 국민 여론을 조사한 결과, ‘의료산업 활성화와 진료 접근성이 좋아질 수 있으니 도입해야 한다’라는 응답이 43.8%, ‘오진 가능성이 있고 대형병원의 독점이 강화될 수 있으니 도입하면 안 된다’라는 응답이 26.9%로 조사됐다.
찬성 입장이 16.9%p 높았지만, 비대면 혹 원격진료 도입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도 29.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의 비율이 높았다. 18세~29세에서 5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70세 이상에서는 33.3%로 가장 낮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반면,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비율이 높아져 60대에서는 40.4%가 70세 이상에서는 과반인 50.7%가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권역에 따라서는 ‘도입해야 한다’는 찬성 응답 비율이 ‘광주·전라’에서 51.6%로 가장 높았던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37.1%로 가장 낮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부산·울산·경남’(47.6%)을 포함한 여타 권역에서는 전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도입해야 한다’가 51.9%로 전체 응답결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미래통합당 지지층에서는 ‘도입하면 안 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36.8%로 ‘도입해야 한다’(28.4%)는 응답에 비해 오차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는 20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7842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 6.4%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표집틀 확정 후 미수신 조사대상에 2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80%)·유선(20%) 자동응답,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0년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대,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