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오산시청
[시사인경제]오산시는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사업 홍보를 위해 대학생 일자리사업를 활용한 현장홍보단 운영하고 있으며, 오산고용복지+센터와 함께 동 주민센터와 고용센터에 전담접수 창구를 마련해 신청서를 접수하는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8년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일자리 안정자금‘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 및 영세중소기업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고, 노동자의 고용안정 및 사회보험료도 함께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원대상은 신청일 기준 매월 정액급여를 최저임금 이상으로 지급하고, 고용보험 가입, 전년도 임금수준 유지, 월 보수 190만원 미만 노동자를 1개월 이상 고용하고 있는 30인 미만 모든 고용 사업주(공동주택 경비·청소원은 30인 이상 고용사업주도 지원)로서 노동자 1명당 월 13만원을 지원한다.

지원 요건에 해당되더라도 ① 고소득 사업주(과세소득 5억원 초과) ② 임금체불 명단 공개 사업주 ③ 국가 등 공공기관 ④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인건비, 운영비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사업주 ⑤ 30인 미만 요건을 맞추기 위해 인위적 고용조정 기업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연중 1회 신청하면 매월 자동 지급되며, 현금 지급 또는 사회보험료 대납 중 선택가능하며, 2018년 최저임금을 반영한 급여 지급 후에 신청할 수 있다.

신청서 접수는 4대 사회보험공단(근로복지공단,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홈페이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일자리 안정자금 홈페이지(jobfunds.or.kr) 등을 통한 온라인 접수가 가능하고, 4대 사회보험공단 지사,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읍면동 사무소(주민센터 또는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 또는 우편·팩스 접수도 가능하며, 일자리 안정자금에 대한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근로복지공단(☎ 1588-0075)과 고용센터(☎ 1350)로 하면 된다.
앞으로도 오산시와 오산고용복지+센터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지역 소상공인 및 영세 중소기업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1분기에 ‘일자리 안정자금‘ 홍보활동을 집중적으로 펼쳐 나갈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38146
  • 기사등록 2018-01-16 13:29: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김진경 의장, “승패를 넘어 성장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이 되길” 응원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은 15일 가평군 자라섬에서 열린 ‘제71회 경기도체육대회’ 개회식에 참석해 참가선수들을 응원하고 격려했다. 경기도체육회가 주최하고 가평군 및 가평군체육회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31개 시군에서 1만4천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가운데 오는 17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경기도 최대 규모의 체육 축제다. 육상.
  2. 화성시인재육성재단,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모집 화성시인재육성재단은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24명을 5월 16일부터 28일까지 모집한다. 본인 또는 부모가 화성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또는 휴학생이라면 신청이 가능하다. 서류 심사 및 면접 심사를 거쳐 선정된 참여자들은 탐방 전 발대식, 팀빌딩, 정책제안 교육 등을 들으며 글로벌 역량을 키운 뒤 7월 28일부.
  3. “경기북부 분도, 사기?” 이재명 후보 발언에 경기도민 분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경기북부 분도와 관련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20일 의정부에서 열린 거리유세에서 이 후보는 "북부를 분리하면 규제 완화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러한 주장들은 실제로 관련이 없는 문제들을 마치 연결된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 발언은 경기북부 지역 ...
  4. 신미숙 도의원, 소공인 경제 활성화 위한 정담회 개최 신미숙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의원은 지난 21일, 경기도의회 화성상담소에서 화성시동탄도시형소공인협의회 및 경기도 소상공인과 관계자들과 함께 소공인 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정담회를 가졌다.이번 정담회에서는 ▲공동장비 실효성 제고, ▲내수·수출 균형 성장 전략, ▲판로 확대를 위한 박람회 운영 등 소공인의 실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