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 김길섭 의원 - 2017 행감서 설립취지와 목적에 맞는 경기테크노파크 운영 요구!
  • 기사등록 2017-11-16 16:32:00
기사수정
    김길섭 의원
[시사인경제]16일,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는 2017년도 경기테크노파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경제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길섭 의원은 경기테크노파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설립취지와 목적에 맞게 운영할 것을 주문했다.

김길섭 의원은 먼저, 경기테크노파크가 조직구성면에서 비정규직 인력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점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및 18년도 최저임금과 경기도 생활임금까지 적용하면 테크노파크의 비약적인 인건비 상승을 피할 수 없다. 정규직 전환에 대한 세밀한 예산분석 및 조직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조직 관련 계획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테크노파크만의 특장점을 살린 대표사업을 발굴, 육성할 것을 주문했다.

“2017년도 수탁사업 목록은 58개나 되지만, 테크노파크하면 떠올릴 수 있을만한 사업은 하나도 없는 현실이다. 58개의 사업 중 10억 이상의 사업이 10개인데,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때다”라고 밝히며, “예를 들어, ‘강소기업육성지원 사업’에 5천만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는데, 이 사업은 오히려 경제과학진흥원에서 해야 할 일로, 테크노파크가 전시사업을 늘어놓은 것 아닌가? 테크노파크는 기업에 기술지원을 하는 것이 주된 설립목적임으로 테크노파크만의 경쟁력 있는 사업인 ‘뿌리산업 육성지원’, ‘3D프린팅 기술지원’과 같은 사업에 집중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지난 2016년 4월 광역최초로 경기도에서 설립한 에너지센터의 대표사업 부재도 지적했다.

김길섭 의원은 “전력 자립도 향상, 신재생 에너지 개발 등 에너지관련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설립한 에너지센터가 41억의 예산으로 하는 사업은 고작 ‘홈페이지 개선 및 운영프로그램 개발’, ‘에너지 전시회 참가’, ‘온라인 홍보 이벤트’ 등 행사성 사업에만 치중하고 있다. 광역 최초의 센터설립이라 아직 방향성을 잡지 못했다면, 독일 등 에너지 강국을 벤치마킹하라. 또한, 에너지와 환경 분야는 정부의 지원도 잘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경기도 에너지센터가 설립목적에 부합한 대표사업을 발굴해 진행한다면 얼마든지 지원받을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질타하며, 테크노파크의 전반적인 운영에 대해 ‘선택과 집중’을 할 것을 요구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31127
  • 기사등록 2017-11-16 16:32: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화성시인재육성재단,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모집 화성시인재육성재단은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24명을 5월 16일부터 28일까지 모집한다. 본인 또는 부모가 화성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또는 휴학생이라면 신청이 가능하다. 서류 심사 및 면접 심사를 거쳐 선정된 참여자들은 탐방 전 발대식, 팀빌딩, 정책제안 교육 등을 들으며 글로벌 역량을 키운 뒤 7월 28일부.
  2. “경기북부 분도, 사기?” 이재명 후보 발언에 경기도민 분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경기북부 분도와 관련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20일 의정부에서 열린 거리유세에서 이 후보는 "북부를 분리하면 규제 완화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러한 주장들은 실제로 관련이 없는 문제들을 마치 연결된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 발언은 경기북부 지역 ...
  3. 신미숙 도의원, 소공인 경제 활성화 위한 정담회 개최 신미숙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의원은 지난 21일, 경기도의회 화성상담소에서 화성시동탄도시형소공인협의회 및 경기도 소상공인과 관계자들과 함께 소공인 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정담회를 가졌다.이번 정담회에서는 ▲공동장비 실효성 제고, ▲내수·수출 균형 성장 전략, ▲판로 확대를 위한 박람회 운영 등 소공인의 실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