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우리 회사에 꼭 맞는 유연근무제 도입 헤맬 필요 없이 쉽게 시작하세요! - CEO, 인사담당자가 유연근무를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 수록
  • 기사등록 2016-12-01 13:12:00
기사수정
    유연근무 도입 단계별 주요 내용
[시사인경제]고용노동부는 일하는 시간과 장소가 유연한 근무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제도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유연한 근무, 우리 기업은 어떻게 운영 할까요」안내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연근무 안내서는 직무부적합, 사내눈치, 비용증가 등으로 유연근무 도입이 어렵다는 기업CEO 등의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유연근무 유형별 적합한 직무, 도입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내용 등으로 구성했다.

유연근무 안내서는 총 2권으로 지난 11.11. 발간한 1권은 유연근무·휴가제도 도입 우수사례를 소개했으며, 이번에 발간한 2권은 유연근무·원격근무 도입단계별 주요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특히 CEO, 인사담당자, 중간관리자가 유연근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업무 생산성 향상(하나투어, 4년 만에 매출 59%증가), ?이직률 감소(한샘개발 콜센터, 이직률 5%→2%로 감소), ?조직만족도와 직무몰입도 증대(조직몰입도 86→91로 증가) 등의 긍정적 성과를 거둔 기업의 사례도 소개하고 있다.

유연근무·원격근무 도입방법을 중심으로 구성된 2권 안내서는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근무제 등 장시간 근로 개선, 생산성 향상 등의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유형*을 분류했다.

또한 유연근무 도입 단계(?진단 → ?제도 설계 → ?실행 → ?사후관리)에 따라 고려해야 할 내용을 정리했다.

그 밖에 「근로시간 유연화 지원제도」에는 기업이 유연한 근무 제도를 도입했을 때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 지원 금액, 신청방법 등도 안내하고 있다.

매뉴얼은 전국 주요 사업장, 사업주단체, 고용센터 및 일자리 유관 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나 일가양득 홈페이지(www.worklife.kr)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고용구조의 변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력구조의 변화가 급격한 시기에 경직적 근로관행을 유연하게 바꾸는 근무혁신은 기업의 생존 전략이며,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해 시간나누기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현장의 실천이 근무혁신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기업의 자발적인 변화를 기대하며, 정부도 유연근무 지원, 전환형 시간선택제 지원 등 다양한 지원제도를 통해 뒷받침 하겠다”고 전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11504
  • 기사등록 2016-12-01 13:12: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화성시인재육성재단,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모집 화성시인재육성재단은 「화성 into 테크노폴」8기 미국 탐방단 24명을 5월 16일부터 28일까지 모집한다. 본인 또는 부모가 화성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또는 휴학생이라면 신청이 가능하다. 서류 심사 및 면접 심사를 거쳐 선정된 참여자들은 탐방 전 발대식, 팀빌딩, 정책제안 교육 등을 들으며 글로벌 역량을 키운 뒤 7월 28일부.
  2. “경기북부 분도, 사기?” 이재명 후보 발언에 경기도민 분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경기북부 분도와 관련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20일 의정부에서 열린 거리유세에서 이 후보는 "북부를 분리하면 규제 완화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러한 주장들은 실제로 관련이 없는 문제들을 마치 연결된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 발언은 경기북부 지역 ...
  3. 신미숙 도의원, 소공인 경제 활성화 위한 정담회 개최 신미숙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의원은 지난 21일, 경기도의회 화성상담소에서 화성시동탄도시형소공인협의회 및 경기도 소상공인과 관계자들과 함께 소공인 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정담회를 가졌다.이번 정담회에서는 ▲공동장비 실효성 제고, ▲내수·수출 균형 성장 전략, ▲판로 확대를 위한 박람회 운영 등 소공인의 실질.
  4. 지역주택조합, '내 집 마련' 아닌 '10년 이상의 함정' 지역주택조합은 본래 무주택 서민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 제도는 본래 취지를 벗어나 사업 지연, 주민 피해, 과장 홍보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며 조합원은 물론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도 심각한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사업은 장기간 지연되고, 지역은 황폐화되며, 조합원 모집은 마치 인허가가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