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3기 신도시에 경기도의 참여를 확대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사진=경기인뉴스 자료사진)
[경기인뉴스=박영신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3기 신도시에 경기도의 사업 참여를 확대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이재명 지사는 28일 페이스북에 올린 ‘3기 신도시에 지방정부 참여와 기본주택(평생주택) 확대 건의’라는 제목의 글에서 국토교통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경기도의 사업 참여율 획기적 확대 ▲공공임대주택 대폭 확대 공급 ▲평생주택 대대적 확대 공급 등을 제안했다.
이 지사는 “부동산시장 안정화 정책인 ‘수도권 30만호 주택공급’의 80%(24만호)가 경기도 내에서 추진된다”며 "‘지방참여형 신도시 추진’이라는 당초 협약과 달리 경기도(GH)의 사업참여비율은 단 8%로 2기 신도시(16%)보다 오히려 절반 수준으로 후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게다가 고양, 남양주 등 경기북부권은 참여가 불가해 지원의 편중이 우려된다”면서 “지방참여 확대는 국감과 행감에서도 꾸준히 요구되어 왔고 2기 신도시에도 못미치는 사업참여율에 대해 지방자치 포기라는 비난과 질책이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 지사는 “3기 신도시 사업에서 경기도의 사업참여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줄 것을 정부와 LH에 강력 건의했다”고 했다.
이어 그는 “고질적인 부동산투기를 조장하고 무주택서민들의 박탈감과 갈등을 부추기는 로또분양을 지양하고, 중산층용 초장기 공공임대주택 (기본주택. 평생주택)을 대폭 확대공급하는 것이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가장 실효적인 처방”이라고 했다.
이재명 지사는 “경기도는 도내 무주택가구가 44%로 도민 절반 가량이 주거불안정을 겪고 있어 영세민 아닌 일반 무주택자들도 역세권 내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중산층형 장기공공임대주택인 ‘기본주택’을 대량 공급하려고 하는데, 8% 사업권비율은 터무니없이 적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본주택의 대량공급이 가능하도록 중산층용 임대주택 유형 신설, 도시기금 융자이율 인하, 장기임대 비축리츠 설립, 공사채 제도개선등 제도 개선도 다시 요청했다”고 했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