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빚, 3분기 1682조로 집계 - 통계 작성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래 가장 큰 규모
  • 기사등록 2020-11-24 14:25:37
기사수정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면서 이에 따른 서민들의 자금 궁핍,  그리고 아파트 가격이 더 오르지 않을까 공포에서 비롯된 패닉바잉으로 불리어지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젊은 층의 빚투(대출로 투자) 등이 혼재하면서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3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682조1000억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래 가장 많았다. 


가계신용 즉, 가계빚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3분기 가계신용은 2분기 말(1637조3000억원)보다 44조9000억원(2.7%) 늘었다. 이 증가 폭은 2016년 4분기 46조1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3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682조1000억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래 가장 많았다. (자료=한국은행)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현재 잔액은 1585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역시 사상 최대 기록이고, 3분기 증가액(39조5000억원)은 2016년 4분기(41조2000억원)에 이어 2위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890조4000억원)은 3분기에만 17조4000억원 불었다. 증가폭이 2분기(14조8000억원)보다 더 커졌고, 2016년 4분기(24조2000억원) 이후 3년 9개월 내 최대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95조2000억원)도 3분기에 22조1000억원이나 뛰었다. 증가액은 2분기(9조4000억원)의 두 배를 훌쩍 넘어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많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64641
  • 기사등록 2020-11-24 14:25:3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