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저소득층 겨냥 각종 현금성 지원 정책에도 소득격차 더 벌어져 - 3분기 1분위 가구 소득 -1.1%였던 데 반해 5분위 소득은 3% 늘어
  • 기사등록 2020-11-19 14:35:22
기사수정

문재인 정부 들어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기 위해 진보적인 각종 정책이 나왔지만 외려 계층 간 소득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세금을 거둬 뿌려대는 각종 현금성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득격차가 더 벌어졌다. 


1분위(하위 20%) 가구의 소득이 마이너스(-) 1.1%였던 데 반해 5분위(상위20%) 가구의 소득은 3% 가까이 늘어났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감소했다. 반면 5분위 가구는 월평균 1039만7000원으로 2.9% 늘었다.


2분위(337만6000원)가구는 소득이 1.3% 떨어졌고, 3분위(473만1000원)와 4분위(638만1000원)은 각각 0.1%, 2.8% 올랐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감소했다. 반면 5분위 가구는 월평균 1039만7000원으로 2.9% 늘었다.(자료=통계청)다른 계층과 비교해 1분위는 근로소득이 가장 크게 줄었다. 1분위의 근로소득은 55만3000원으로 10.7% 감소했다. 대신 정부 지원금을 포함한 공적 이전소득(58만5000원)은 15.8% 증가했다. 


사실상 근로소득 감소분 만큼 정부 지원금으로 버틴 셈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정부 지원금 혜택을 누린 계층은 고소득층이다. 4분위(50만4000원)와 5분위(35만2000원)의 공적 이전소득은 각각 63.5%, 40.3% 각각 늘었다.


이로써 분배지표는 더 벌어졌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88배로 나타났는데, 지난해보다 0.22배 포인트(p) 오른 수치다. 


한편, 올해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하면서 1분위 근로소득은 분기별로 감소 폭이 확대하고 있다. 1분위 근로소득은 1분기 0.1% 줄었다가, 2분기에는 18.0%로 감소 폭이 커졌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64611
  • 기사등록 2020-11-19 14:35:2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하남시, 스마트 안전 시설물 설치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 하남시는 지난 21일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 시인성 강화를 위해 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바닥신호등 2개소, 활주로형 횡단보도 9개소 설치를 완료했다.이현재 하남시장은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를 위해 기반시설이 부족한 지역에는 종합 정비사업을, 기반시설이 갖춰진 지역에는 스마트 안전 시설물 설치를 통해 어.
  2. 과천시,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사업 참여 과천시는 생후 만 24개월 이상 48개월 미만 아동을 돌보는 4촌 이내의 친인척이나 이웃 주민에게 돌봄 아동수에 따라 월 30만 원에서 60만 원을 지원한다.해당 사업은 경기도에서 새로 추진하는 `경기형 가족돌봄수당`으로 과천시가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과천 시민이 혜택을 볼 수 있게 됐다.친인척 외 사회적 가족까지 돌봄비를 지원하는 ..
  3. 이천시, 반도체 인력양성 위해 기업 실무회의 열어…관계기관 협력 추진 이천시는 지난 5월24일 반도체산업의 청년고용 촉진과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반도체 기업 협의체 실무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실무회의는 이천시와 (사)경기중소벤처기업연합회가 공동 주관으로 관내 반도체 기업 과 두원공대,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 융합캠퍼스, 이천 제일고, 다산고 등 교육기관이 참석해 반도체산업의 현장인력 ...
  4. 대진대학교, “우수논문상” 수상 대진대학교 IT융합지식재산교육센터 정종신 센터장(AI빅데이터전공 교수)은 우리 대학 지식재산융합전공 학생 등이 "2024년도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회장 김동하 청주대교수) 춘계학술대회는 5월 24일 인하대학교 6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되었으며, 한국특...
  5. 대진대학교, “최우수대학” 선정 대진대학교 IT융합지식재산교육센터 정종신 센터장(AI빅데이터전공 주임교수)은 특허청 신산업분야 지식재산 융합인재 양성 사업의 연차 평가 결과에서 최우수대학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전국 32개 대학 50개 사업단을 대상으로 한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주관 사업 연차평가에서 두 개의 사업을 수행하는 대진대학교가 각각 최우수(S등급)...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