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와 저금리기조 하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 유동성이 넘쳐 나면서 통화량도 불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13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115조8000억원으로 8월보다 14조2000억원(0.5%) 늘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MMF(머니마켓펀드)·2년 미만 정기 예금·적금·수익증권·CD(양도성예금증서)·RP(환매조건부채권)·2년 미만 금융채·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한국은행이 13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115조8000억원으로 8월보다 14조2000억원(0.5%) 늘었다.(자료=한국은행)9월 증가액 14조2000억원은 8월(9조8000억원)을 웃돌지만, 7월(15조7000억원)보다는 적다.
9월 말 기준 M2(3115조8000억원) 절대 규모는 작년 같은 달보다 여전히 9.2% 많은 상태다.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등이 포함된 M1 증가율은 25.1%로 2002년 6월(26.4%) 이후 18년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시중자금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해 현금형태로 대기 중인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정기예적금은 줄고, M1에 포함되는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이 늘어났다"며 "유동성이 보다 높은 자금으로 이동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