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1월, 자신의 SNS계정에 고위 공직자 본인과 자녀나 조카가 외국 국적 취득의 이유로 군대를 다녀오지 않은 것을 두고 일침을 가하는
![]() 강기성 기자 |
글을 올린 적이 있어 국민들에게 박수갈채를 받은 적이 있다.
안 의원은 지난 2017년 1월 24일, 박근혜 정부 당시 고위직을 역임한 공직자가 군대에 가지 않았고 반
기문 전 UN사무총장의 조카 A씨가 장기간의 병역기피 혐의로 지명수배가 내려진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자신의 SNS에 표현한 적이 있다.
당시 안 의원 본인 계정의 SNS인 페이스북에 “나는 미국 유학 시절 재미교포와 결혼 후 딸까지 두어 군대를 면할 수 있었지만, 박사를 마치고 만29세에 군대를 다녀왔다” 운을 뗀 후 “이런 내가 집안 어른들은 무책임하다며 본인의 군입대를 반대하셨지만 나는 반칙하고 살고 싶지 않았다”면서 “솔직히 군대 가고 싶어 다녀온 남자가 어디 있겠나?”며 자신이 군대를 면제받을 수 있었지만, 반칙이 싫어서 다녀왔다고 솔직히 고백했다.
이어 그는 고위공직자들과 반 전 총장의 조카 A씨가 그 당시 병역기피 혐의로 ‘지명수배’가 내려진 것을 빗대어 “그렇게 살지 마라”고 일침을 가하면서 글을 마무리 지었다.
안 의원은 지난 1995년 공군 제92기 학사 장교로 입대해, 40개월(3년 4개월)의 군 복무를 했고 1999년 공군 중위로 전역했다.
안 의원은 지난 1966년 경남 의령군에서 태어나 1970년대 경기도 오산시로 전입하여 초·중을 나왔고 이로 인해 17대∼20대 국회의원을 내리 4선으로 역임하고 있다.
늦은 나이에 그것도 처와 자녀를 두고 외국 유학을 하고 있으면서 귀국해 40개월 장교로 군 복무를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군 복무만큼은 박수받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본 기자도 개인적으로 한마디 하면 군을 면제받을 사유가 2가지나 있었지만 지난 2004년 3월 당당히 육군 현역으로 입대해 24개월 복무 후 만기전역 한 적이 있다.
그러나 고위공직자들이나 선출직 공무원, 또는 정무직공무원 본인이나 자녀들을 보면 군대를 질병으로 또는 대한민국 국적으로 포기한 외국 국적자라는 이유로 인해 군대 면제받거나 군대 입대 제외를 받는 것이 비극적 현실이다.
안 의원도 언급했지만 ‘군대에 가고 싶은 남자’가 어디 있겠는가?, 다만 대한민국이 아직도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고 나와 내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또는 가지 않을 수 없어서 군 복무를 마치는 것이라고 본 기자는 생각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