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보건산업 수출은 지난 2016년 102억 달러에서 2017년 연말까지 약 117억 달러로 증가 전망, 무역수지 약 10억 달러 흑자, 일자리는 지난 2016년 79만5천명에서 2017년 연말까지 83만1천명으로 증가 예상
2018년 보건산업은 선진시장 진출 등 질적 성장을 이어나가수출액은 2017년 117억 달러에서 16.0% 증가한 약 136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약 24억 달러로 전망
보건복지부는 2017년 보건산업 수출은 지난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 달러 내외, 일자리는 2016년 79만5천명 대비 4.6% 증가한 83만1천명 내외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보건산업 수출은 지난 2016년 최초로 100억 달러를 돌파하고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된 데 이어 2017년에도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오는 2018년에는 수출 다변화, 선진시장 진출 등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수출액이 16.0% 증가한 약 136억 달러에 달하는 등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3분기까지 보건산업(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은 총 86억 달러(9조7천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5.5% 증가하고, 수입액은 81억9천만 달러(9조3천억원)로 5.9% 증가해, 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17년 3분기까지 의약품 수출액은 27억2천만 달러(3조1천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2.3%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43억6천만 달러(4조9천억원)로 3.9% 증가했다.
바이오시밀러는 미국·유럽 등으로 총 의약품 수출액의 30.1%인 8억2천만달러, 백신은 브라질·페루 등으로 1억2천만달러, 면역글로불린은 브라질·이란·인도 등으로 5천3백만달러 수출액을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 달러), 일본(2억9천만 달러), 중국(2억3천만 달러), 브라질·헝가리(각 1억5천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시밀러 수출 등의 영향으로 對 미국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73.7% 증가하면서 수출 1위 대상국이 됐고, 수출 상위 20개국 중 유럽 국가가 9개국에 해당되는 등 선진국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2017년 3분기까지 의료기기 수출액은 22억6천만 달러(2조6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26억5천만 달러(3조원)로 8.1% 증가했다.
의료기기 수출을 이끄는 주요품목은 초음파 영상진단기(3억9천만 달러, 17.0%↑), 내과용·외과용·치과용·수의용 진단기기(2억3천만 달러, 43.7%↑), 정형외과용 기기(2억 달러, 34.6%↑) 등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9천만 달러), 중국(3억4천만 달러), 일본(1억8천만 달러), 독일(1억1천만 달러), 인도(8천만 달러) 순이다.
수출 상위국가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큰 국가는 터키(63.1%), 인도네시아(56.9%), 브라질(53.7%), 인도(44.4%), 러시아(40.2%)로 나타났다.
2017년 3분기까지 화장품 수출액은 36억2천만 달러(4조1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11억8천만 달러(1조3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분기별 수출액 증가율은 1분기 34.5%, 2분기 6.7%, 3분기 19.2%로 3분기 들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이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13억4천만 달러), 홍콩(9억1천만 달러), 미국(3억5천만 달러), 일본(1억7천만 달러), 대만(1억2천만 달러) 순이다.
수출 다변화 노력에 따라, 수출 상위 국가 중 독일(435.6%), 러시아(119.8%), 영국(99.7%), 네덜란드(92.8%) 등 유럽지역에서 전년 동기대비 수출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2017년 3분기까지 보건산업 상장기업(149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21.6조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대비 1.2% 증가한 1.2조원으로 나타났다.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제약기업(95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11조9천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9,245억원으로 나타났다.
상장 혁신형 제약기업(33개사)와 제약 벤처기업(23개사)의 연구개발비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6%, 27.2% 증가했다.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의료기기기업(33개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1조7천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한 1,247억원으로 나타났다.
상장 의료기기 벤처기업(17개사)의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2017년 3분기까지 상장 화장품 기업(21개사) 매출액은 외래관광객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8조1천억원,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1,028억원으로 나타났다.
상장 화장품 벤처기업(6개사)의 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28.1% 증가했다.
2017년 3분기까지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보건산업 일자리는 82만4천명으로, 2016년 말(79.5만명) 대비 3만명 증가(3.7%)했다.
보건제조산업인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일자리는 14만2천명으로, 작년 말(13만7천명)보다 3.6%(5천명)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제약산업 일자리가 6만4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2.9% 증가했고, 의료기기산업 일자리는 4만5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4.5%, 화장품산업 일자리는 3만3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3.8% 증가했다.
병·의원 등 의료서비스 일자리는 작년 말(65만7천명) 대비 3.8% 증가해 68만2천명으로 늘었다.
전 분야에서 고르게 일자리가 늘어, 보건산업이 성장하면 일자리도 함께 창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3분기 성과와 산업계·전문가 패널조사 결과 등을 종합할 때, 2017년 연말까지 보건산업 수출액은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달러 내외, 수입액은 6.0% 증가한 107억달러 내외로 예상된다.
지난 2016년 최초로 무역수지가 흑자(1억달러)로 전환된 이후, 흑자추세가 지속돼 2017년에는 무역수지 흑자가 10억달러 내외로 확대될 전망이다.
부문별 수출액은 의약품 35억9천만달러(15.3% 증가), 의료기기 32억2천만달러(10.2% 증가), 화장품 48억8천만달러(16.3% 증가)로 내외로 예상된다.
2017년 연말 기준 보건산업 관련 기업의 매출액은 지난 2016년 52조2천억원(650개 상장·외감기업 기준)에서 4.9% 증가한 약 54조7천억원 수준, 생산액은 2016년 37조7천억원에서 7.9% 증가한 약 40조7천억원 수준, 일자리는 지난 2016년 79만5천명 대비 3만6천명(4.6%) 증가한 83만1천명으로 예상된다.
보건제조산업인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일자리는 지난 2016년 13만7천명 대비 6천명 증가한 14만3천명으로, 의료서비스 일자리는 지난 2016년 65만7천명 대비 3만명 증가한 68만7천명으로 전망된다.
오는 2018년에도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되면서, 선진시장 진출과 수출국 다변화 등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대비 보건산업 수출액은 16.0% 증가한 136억 달러, 수입액은 4.5% 증가한 112억 달러 수준, 무역수지 흑자는 24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된다.
2017년 미국·유럽 허가를 획득한 바이오의약품의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수출액이 2017년 대비 13.4% 증가한 41억 달러로 확대되고, 수입액은 3.0% 증가한 59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된다.
중국·브라질·베트남 등 신흥국 의료시장 확대, 초음파 영상 진단장치와 치과용 임플란트 등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수출액은 2017년 대비 10.1% 증가한 35억 달러, 수입액은 7.0% 증가한 36억달러로 전망된다.
북미·유럽 등 수출국 다변화, 중국 당국의 규제 완화조치로 수출액은 2017년 대비 22.0% 증가한 59억 달러로 성장세를 회복하고, 수입액은 4.9% 증가한 16억 달러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제약사의 글로벌 임상시험 결과 가시화, 중국인 관광객 유입 회복, 보건산업 시장진출 지원 확대 등으로 2017년 대비 매출액은 9.0%, 생산액은 9.6%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개발 인력 확대, 바이오시밀러 생산시설 확대에 따른 증원, 일자리 정책 등의 영향으로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전체 보건산업 일자리는 2017년 83만1천명에서 2018년 약 86만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각국의 보호무역 정책 심화, 중국산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면서 국산 제품의 대체재로 부상할 수 있는 점 등 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보건산업의 성과를 가속화하고, 혁신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도 혁신적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정책펀드, 수출 등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며,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설치 예정인 헬스케어특별위원회 등을 통해서도 미래 보건산업의 발전방향을 적극 논의하고, 정책에 반영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