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7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0.02% 증가 - 착공은 7.3% 감소, 준공은 21.2% 증가
  • 기사등록 2017-11-07 11:49:00
기사수정
    2017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0.02% 증가
[시사인경제]국토교통부는 2017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0.02% 증가한 43,238천㎡, 동수는 2.2% 감소한 68,370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21,514천㎡(3,515천㎡, 19.5%), 지방 21,724천㎡(△3,507천㎡, 13.9%↓)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한 32,910㎡, 동수는 5.7% 감소한 54,511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5,430천㎡(△1,835천㎡, 10.6%↓), 지방 17,479천㎡(△743천㎡, 4.1%↓)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한 38,629천㎡, 동수는 3.4% 증가한 56,272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8,379천㎡(3,696천㎡, 25.2%), 지방 20,249천㎡(3,052천㎡ , 17.8%)이다.

전년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17,297천㎡, 공업용 3,902천㎡, 문교사회용은 2,195천㎡로서 각각 6.2%, 17.9%, 7.1% 감소했고, 상업용 12,265천㎡로서 2.0% 증가했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2,510천㎡, 공업용 3,841천㎡, 문교사회용은 1,532천㎡로서, 각각 18.3%, 5.2%, 13.0% 감소했고, 상업용 9,827천㎡로서 5.7% 증가했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17,720천㎡, 상업용 9,571천㎡, 문교사회용은 1,942천㎡로서, 각각 35.3%, 4.3%, 0.8% 증가했고, 공업용 3,612천㎡로서 11.1% 감소했다.

2017년 3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6.2%), 착공(△18.3%) 면적은 감소했으나 준공(35.3%) 면적은 증가했다.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13.6%) 증가, 지방(△19.4%) 감소했으나, 착공 면적은 수도권(△26.5%) 및 지방(△9.5%) 모두 감소했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2.0%), 착공(5.7%), 준공(4.3%) 면적 모두 증가했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기타(운수시설)(127.1%), 착공은 판매시설(114.1%), 준공은 기타(숙박시설)(96.8%)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 건축물의 허가(0.7%), 준공(60.5%) 면적은 증가했으나, 착공(△19.1%) 면적은 감소했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267.9%)는 증가했으나 경기도(△6.1%), 인천광역시(△81.5%)는 감소했으며, 지방의 경우 부산광역시(158.0%)는 증가했으나 울산광역시(△92.1%), 세종특별자치시(△90.8%)의 면적이 감소했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3차 경남아파트(22동, 666천㎡),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진주 주택재건축(19동, 279천㎡) 등이며, 지방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17동, 304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이인지구 24블록 4로트(16동, 237천㎡) 등이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5.4%인 31,018동, 100~200㎡ 건축물이 12,922동(18.9%), 300~500㎡ 건축물이 8,769동(12.8%) 순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4,870동으로 전체의 45.6%, 100~200㎡ 건축물이 9,681동(17.8%), 300~500㎡ 건축물이 7,327동(13.4%)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3,368동으로 전체의 41.5%, 100~200㎡ 건축물이 10,492동(18.6%), 300~500㎡ 건축물이 8,220동(14.6%)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5.5%인 19,683천㎡, 개인이 12,879천㎡(29.8%), 공공이 1,657천㎡(3.8%)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4.1%인 17,807천㎡, 개인이 10,047천㎡(30.5%), 공공이 1,683천㎡(5.1%)이며, 준공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29.6%인 11,444천㎡, 법인이 10,343천㎡(26.8%), 공공이 718천㎡(1.9%)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748천㎡(12,793동), 1,106천㎡(3,095동), 236천㎡(407동), 106천㎡(194동) 멸실됐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6.0%인 979천㎡(10,902동), 아파트 303천㎡(83동), 다가구주택 293천㎡(1,423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4.8%인 384천㎡(1,409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343천㎡(1,332동), 업무시설이 120천㎡(51동) 멸실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29744
  • 기사등록 2017-11-07 11:49: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과천시, `경기형 가족돌봄수당` 사업 참여 과천시는 생후 만 24개월 이상 48개월 미만 아동을 돌보는 4촌 이내의 친인척이나 이웃 주민에게 돌봄 아동수에 따라 월 30만 원에서 60만 원을 지원한다.해당 사업은 경기도에서 새로 추진하는 `경기형 가족돌봄수당`으로 과천시가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과천 시민이 혜택을 볼 수 있게 됐다.친인척 외 사회적 가족까지 돌봄비를 지원하는 ..
  2. 하남시, 스마트 안전 시설물 설치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 하남시는 지난 21일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 시인성 강화를 위해 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바닥신호등 2개소, 활주로형 횡단보도 9개소 설치를 완료했다.이현재 하남시장은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를 위해 기반시설이 부족한 지역에는 종합 정비사업을, 기반시설이 갖춰진 지역에는 스마트 안전 시설물 설치를 통해 어.
  3. 이천시, 반도체 인력양성 위해 기업 실무회의 열어…관계기관 협력 추진 이천시는 지난 5월24일 반도체산업의 청년고용 촉진과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반도체 기업 협의체 실무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실무회의는 이천시와 (사)경기중소벤처기업연합회가 공동 주관으로 관내 반도체 기업 과 두원공대, 한국폴리텍대학 반도체 융합캠퍼스, 이천 제일고, 다산고 등 교육기관이 참석해 반도체산업의 현장인력 ...
  4. 대진대학교, “우수논문상” 수상 대진대학교 IT융합지식재산교육센터 정종신 센터장(AI빅데이터전공 교수)은 우리 대학 지식재산융합전공 학생 등이 "2024년도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회장 김동하 청주대교수) 춘계학술대회는 5월 24일 인하대학교 60주년 기념관에서 개최되었으며, 한국특...
  5. 대진대학교, “최우수대학” 선정 대진대학교 IT융합지식재산교육센터 정종신 센터장(AI빅데이터전공 주임교수)은 특허청 신산업분야 지식재산 융합인재 양성 사업의 연차 평가 결과에서 최우수대학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전국 32개 대학 50개 사업단을 대상으로 한 특허청/한국발명진흥회 주관 사업 연차평가에서 두 개의 사업을 수행하는 대진대학교가 각각 최우수(S등급)...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