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7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0.02% 증가 - 착공은 7.3% 감소, 준공은 21.2% 증가
  • 기사등록 2017-11-07 11:49:00
기사수정
    2017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0.02% 증가
[시사인경제]국토교통부는 2017년 3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0.02% 증가한 43,238천㎡, 동수는 2.2% 감소한 68,370동이라고 밝혔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21,514천㎡(3,515천㎡, 19.5%), 지방 21,724천㎡(△3,507천㎡, 13.9%↓)이다.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한 32,910㎡, 동수는 5.7% 감소한 54,511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5,430천㎡(△1,835천㎡, 10.6%↓), 지방 17,479천㎡(△743천㎡, 4.1%↓)이다.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한 38,629천㎡, 동수는 3.4% 증가한 56,272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8,379천㎡(3,696천㎡, 25.2%), 지방 20,249천㎡(3,052천㎡ , 17.8%)이다.

전년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17,297천㎡, 공업용 3,902천㎡, 문교사회용은 2,195천㎡로서 각각 6.2%, 17.9%, 7.1% 감소했고, 상업용 12,265천㎡로서 2.0% 증가했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12,510천㎡, 공업용 3,841천㎡, 문교사회용은 1,532천㎡로서, 각각 18.3%, 5.2%, 13.0% 감소했고, 상업용 9,827천㎡로서 5.7% 증가했다.

준공면적은 주거용 17,720천㎡, 상업용 9,571천㎡, 문교사회용은 1,942천㎡로서, 각각 35.3%, 4.3%, 0.8% 증가했고, 공업용 3,612천㎡로서 11.1% 감소했다.

2017년 3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6.2%), 착공(△18.3%) 면적은 감소했으나 준공(35.3%) 면적은 증가했다.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13.6%) 증가, 지방(△19.4%) 감소했으나, 착공 면적은 수도권(△26.5%) 및 지방(△9.5%) 모두 감소했다.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2.0%), 착공(5.7%), 준공(4.3%) 면적 모두 증가했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기타(운수시설)(127.1%), 착공은 판매시설(114.1%), 준공은 기타(숙박시설)(96.8%)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 건축물의 허가(0.7%), 준공(60.5%) 면적은 증가했으나, 착공(△19.1%) 면적은 감소했다.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267.9%)는 증가했으나 경기도(△6.1%), 인천광역시(△81.5%)는 감소했으며, 지방의 경우 부산광역시(158.0%)는 증가했으나 울산광역시(△92.1%), 세종특별자치시(△90.8%)의 면적이 감소했다.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3차 경남아파트(22동, 666천㎡),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진주 주택재건축(19동, 279천㎡) 등이며, 지방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17동, 304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이인지구 24블록 4로트(16동, 237천㎡) 등이다.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5.4%인 31,018동, 100~200㎡ 건축물이 12,922동(18.9%), 300~500㎡ 건축물이 8,769동(12.8%) 순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4,870동으로 전체의 45.6%, 100~200㎡ 건축물이 9,681동(17.8%), 300~500㎡ 건축물이 7,327동(13.4%) 순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23,368동으로 전체의 41.5%, 100~200㎡ 건축물이 10,492동(18.6%), 300~500㎡ 건축물이 8,220동(14.6%)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5.5%인 19,683천㎡, 개인이 12,879천㎡(29.8%), 공공이 1,657천㎡(3.8%)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4.1%인 17,807천㎡, 개인이 10,047천㎡(30.5%), 공공이 1,683천㎡(5.1%)이며, 준공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29.6%인 11,444천㎡, 법인이 10,343천㎡(26.8%), 공공이 718천㎡(1.9%)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748천㎡(12,793동), 1,106천㎡(3,095동), 236천㎡(407동), 106천㎡(194동) 멸실됐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6.0%인 979천㎡(10,902동), 아파트 303천㎡(83동), 다가구주택 293천㎡(1,423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4.8%인 384천㎡(1,409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343천㎡(1,332동), 업무시설이 120천㎡(51동) 멸실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29744
  • 기사등록 2017-11-07 11:49: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먹사니즘을 넘어 잘사니즘으로” 오산에서 새로운 삶의 전환을 선언하다 8일 오후 4시, 오산신협 본점 3층에서 “먹사니즘을 넘어 잘사니즘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먹사니즘 오산네트워크 발대식이 성황리에 개최됐다.이번 발대식은 먹사니즘 전국네트워크가 주최하고, 먹사니즘 오산네트워크가 주관하여 진행된 행사로, 생존의 문제를 넘어서 더 나은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새로운 사회적 전환 운동의 시..
  2. 고령자 안전 위협하는 졸속 운행… 일부 기사로 인해 전체 기사 신뢰 추락 오산시를 순환하는 마을버스 53번 노선이 일부 운전기사의 불친절하고 위험한 운행 방식으로 인해 시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낮 시간대 버스를 이용하는 고령자와 여성 승객들은 반복되는 졸속 운행으로 인해 신체적 위험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오산 마을버스 53번은 원4동, 대원아파트, 성..
  3. <기고>담배로 인한 사회적 비용, 국민건강을 위한 책임 있는 선택 담배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닙니다. 담배로 인한 질병과 사망은 사회 전체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국민 건강과 건강보험 재정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담배회사를 상대로 2014년부터 법적 소송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소송의 핵심은 담배회사가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
  4.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모 의원 발언 논란…사실관계 확인 중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최근 논란이 된 소속 의원의 부적절 발언 의혹과 관련해 "현재 사실관계를 면밀히 확인 중"이라며 신중한 대응을 예고했다.해당 발언은 비공식적인 남성 간 대화 중 나온 것으로 알려졌으며, 정황상 특정 성(性)을 겨냥하거나 명백한 성희롱 의도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측은 "객..
  5. 오산드림봉사단, 저소득층 위한 ‘사랑의 미용 봉사’ 오산 지역사회에 따뜻한 나눔을 실천하는 오산드림봉사단(단장 최은정)이 오늘도 변함없이 이웃 사랑을 실천했다. 오산드림봉사단은 2023년에 결성되어 현재 40명의 단원이 활발히 활동 중이며, 단원들은 강사, 미용사, 기업인 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한 달에 한 번, 저소득층을 위한 정기 미용 봉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