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외국인환자 36만4천명, 진료수입 8,606억원 |
|
[시사인경제]보건복지부는 2016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실환자 기준으로 2015년 대비 23% 증가한 36만4천명에 이르렀으며, 2009년 이후 누적 156만명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진료수입은 총 8,606억원으로 전년대비 29% 증가했고 2009년 이후 총 3조원을 누적 달성했다.
환자의 출신 국적별로는 중국, 미국, 일본, 러시아, 카자흐스탄 순으로 많았고, 동남아 및 중동 환자도 증가했다.
2015년 대비 29% 증가한 12만7천명으로 성형외과, 내과, 피부과, 건강검진, 정형외과 순으로 많이 찾았다. 특히 성형외과의 비중이 줄고(23.8% → 20%), 산부인과 ·정형외과 등이 증가했다.
엔화 강세, 방한 관광객 증가 등으로 2015년 대비 41% 증가한 2만7천명이었고 피부과가 4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각각 1만5천명(19%▲), 4천명(56%▲) 유치하였으며, 종양, 소화기 질환 등 내과를 가장 많이 찾았다.
한류와 경제 성장률이 높은 베트남은 8천7백명(64%▲)이며, 내과, 산부인과를 많이 찾았고, 태국은 4천명(72%▲)으로 성형외과를 가장 많이 방문했다.
전체 중동 환자는 7천2백명(19%▲)으로 내과, 피부과, 성형외과 순이었고 정부간 송출 환자를 포함한 아랍에미리트(UAE) 환자는 3천5백명(20%▲)이 방문했다.
진료수입은 2016년 총 8,606억원으로 전년 6,694억원 대비 29% 증가하였으며, 전체 외국인환자의 1인당 평균진료비는 236만원으로 전년(225만원)대비 5.0% 증가했다.
국적별 1인당 평균진료비는 UAE환자가 1,194만원으로 가장 높고, 태국(524만원), 카자흐스탄(417만원), 인도네시아(398만원)가 그 뒤를 이었다. 평균진료비 1억원 이상 고액 환자도 284명을 기록했다.
내과통합 진료가 8만5천명으로 전체 중 20%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성형외과 4만8천명(11%), 피부과 4만7천명(11%) 순으로 많았다.
피부과는 일본 환자의 증가, 미용성형 부가가치세 환급 등 영향으로 전년대비 48%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산부인과는 러시아, 몽골 등에서 불임치료에 대한 수요로 전년대비 22% 증가한 2만 3천명을 유치하였으며, 한방도 전년대비 36% 증가한 1만8천명의 외국인환자가 찾았다.
서울이 전체 외국인환자의 59%인 21만6천명을 유치하여 가장 많았으나,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비중은 전년대비 2%p 감소하여 수도권 집중현상이 다소 완화되었다.
특히 경북과 대구, 제주가 각각 전년 대비 88%, 63%, 46% 증가하여 지방의 외국인환자 유치 노력이 성과를 거뒀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상급종합·종합이 19만8천명(전체 외국인환자의 54.6%)의 외국인환자를 유치하였으나 그 비중은 감소하고, 병원·의원의 비중이 증가하는 등 종별로 다변화했다.
상급종합·종합의 비중은 전년대비 4.9%p 감소(59.5% → 54.6%) 했고, 병원·의원의 비중은 전년대비 4.9%p 증가(34.3% → 39.2%) 했다.
특히, 의원급 의료기관은 ‘09년부터 전체 외국인환자 유치비중이 약 12%p 증가 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내과, 안과, 성형외과 등에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보건복지부는'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치의료기관의 배상책임보험 가입 의무화, 유치 수수료율 상한 고시, 불법브로커 신고포상제 등을 통해 유치 시장 건전성을 확보하고 외국인환자의 권익과 안전을 강화하여왔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16년은 유치국가 및 진료과목의 다변화, 진료수입 증가, 병·의원급으로의 확대, 비수도권 지역의 유치 활성화 등 질적 성장을 위한 내실을 다지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며, 외국인환자 유치는 항공, 숙박, 쇼핑, 관광 등 연관 산업의 수익 창출로 이어지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올해도 우수 유치의료기관을 평가·지정하여 외국인환자의 안전과 신뢰도를 제고하고, 평창 동계올림픽,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국제 행사 등과 연계하여 외국인환자 유치를 다방면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