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교육감, "아이들 밥상이 재정위기 극복의 첫 표적.. 안타깝다"
관리자
【경기인뉴스】임성택 기자 =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은 “보편적 복지를 하기 위한 복지증세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곤 교육감은 최근의 친환경 무상급식 예산 논란과 관련하여, 22일 개인 페이스북에 생각을 남겼다. 우리 경기도는 친환경무상급식을 통한 먹거리 생태계가 이미 단단하게 뿌리박고 있다”며, “농민과 학교, 학부모와 학생, 그리고 저희 교육청과 경기도청, 31개 시군까지 종횡으로 얽혀 있다”고 밝힌 후, “요즘 박근혜 정부의 복지공약을 둘러싼 논란, 세금 논란 등을 보고 있자면, 참 답답한 측면이 있다”는 김 교육감은 “약속은 지켜져야 하고, 그 재원은 세금으로 마련할 수밖에 없다. 어떤 측면을 고려해도 증세는 불가피하다”며, “보편적 복지를 하기 위한 복지증세가 이뤄져야 한다”고 힘주었다. 이어서 “에둘러 가기 힘든, 단언컨대,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해 피해갈 수 없는 과정”이라며, “많은 국민들이 이 문제를 이해하고 있다고 믿는다. 설령 반대하는 분들이 있다 하여도 설득해야 한다”면서 “충분함을 넘는, 또는 너무 많은 소득을 올리는 분들한테는 그에 합당한 세금을 걷고, 지난 정부가 취한 잘못된 감세는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에 대해서는 “보편적 복지를 지향하는 공약을 정직하게 실현해야 한다”며, “십자가를 지는 각오로 복지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증세를 단행하기 바란다”고 이야기했다. 경기도청의 친환경무상급식 예산 삭감과 관련하여서는 “아이들 밥상을 재정위기 극복의 첫 표적으로 삼은 듯 하여 안타깝고 당혹스럽다”면서, “우리 지사님께서도 아이 밥상을 건드리는 것보다, 무엇이 문제인지 선후를 가려 사안의 본질을 직시하여야” 한다고 피력했다.김 교육감은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으로 경기교육이나 우리 사회의 현안에 대해 국민과 소통하고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ginews.kr/news/view.php?idx=2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