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사업 주요 추진 사례 |
|
[시사인경제]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LINC+ 사업)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선정 대학을 발표했다.
LINC+는 (가칭)Post-LINC로 불리던 LINC사업의 후속사업과 신규 추진되는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사업”이 합쳐진 사업으로, 올해 총 3,271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재정지원 사업이다.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사업대학은 1단계 포뮬러 평가, 2단계 사업계획서 평가(권역별, 전국단위), 사업관리위원회 심의·확정 등 3단계 절차를 거쳐 선정되었다.
포뮬러 평가에서는 8개 지표로 대학의 산학협력 기본역량을 평가하여 선정 대학 수의 약 2배수인 104개교를 선발했고, 서면평가를 통해 권역별 16개교인(단, 호남제주권은 14개교) 총 78개교, 권역별 정성평가(서면+대면)에서 권역별 10개교 총 50개교, 이후 전국단위 정성평가를 통해 5개교를 추가 선발했다.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의 경우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점수를 합산(정량30%+정성70%)하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정량평가는 사회맞춤형 교육역량, 진로지도역량, 산학협력역량, 산업체 친화역량 등 대학의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상의 추진여건과 역량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후, 대학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대한 정성평가(서면+대면)를 실시하여 권역별 7개 대학(총 35개교)을 선정하고, 전국단위 정성평가를 거쳐 9개교를 추가 선발했다.
이번 LINC+ 선정평가는 정부 재정지원사업 최초로 평가위원 중 50%이상을 “평가위원 공모제”를 통해 선발하여 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제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2월 2일∼10일 LINC+ 평가 참여 의향이 있는 전국 대학 부교수급 이상을 대상으로 평가위원 공모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신청된 인원의 평가경험, 보직경험, 산학협력 실적, 상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위원을 선정했다.
LINC+ 사업은 지난 2016년 7월 발표된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방향에 따라 추진하는 첫 번째 사업으로 대학의 비전, 여건 및 특성에 기반한 자율적 산학협력 모델 창출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이 제시한 산학협력 모델이 지역사회, 지역산업, 특화분야 등 대학 내·외부적 여건에 대한 타당한 분석을 기반으로 적합하고, 실현가능성 있게 수립되었는지 여부가 선정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사업 내용 뿐 아니라 대학의 중장기 비전, 대학의 산학협력 발전계획 및 LINC+사업계획 간의 연계성에 대한 거시적 접근 등을 통해 대학의 발전전략과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는 정성평가가 이루어졌다.
LINC+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앞으로 지역산업 및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를 기반으로 우수 인력양성, 일자리 창출, 기업지원 및 창업 활성화 등 지역사회의 혁신 주체로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특히, 다수의 대학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인력양성, 대학 경쟁력 강화, 기업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여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한 대학의 적극적 움직임이 기대된다.
교육부 김영곤 대학지원관은 “대학의 자율성을 부여한 결과 전국적으로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이 제시된 것 같다.”며 “향후 대학이 제시한 산학협력 모델이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