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의료기기 기업 CEO 대구․오송 첨복단지 방문 및 간담회 개최 |
|
[시사인경제]보건복지부는 글로벌 신약과 첨단 의료기기를 개발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된 첨단의료복합단지(대구·오송)와 제약·의료기기 기업의 협업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내외 제약·의료기기 기업 CEO 등 30여명을 첨복단지에 초대하여 첨복이 보유한 연구 인프라와 인력 등을 소개하고, 기업 지원 성공사례 등을 발표하는 간담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대구·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제약·의료기기 기업과 협업 우수사례는 다음과 같다.
대구 첨복(합성신약, 영상 진단·치료기기에 특화)은 제약기업과 공동연구 등을 통해 2016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용 후보물질과 미분화 갑상선암 치료용 후보물질을 개발하여 기술이전 했고,
오송 첨복(바이오신약, 인체삽입형 의료기기에 특화)은 제약·의료기기 기업과 협업하여 장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기술이전 및 일회용 내시경과 환자 감시 및 제세동 융합시스템 개발 등을 지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녹십자, 대웅제약, 동국제약, 대원제약, 셀트리온, 우성제약, 환인제약, 다인바이오 등 제약기업 22개(신약연구기관 포함)와 한랩, 유앤아이, 크라운의료기, 테스리프트, 이엠텍 등 의료기기 기업 7개(대학 1개 포함)가 참석하여 첨복과 기업의 협업 성공사례를 설명 듣고, 연구 장비·시설 등을 둘러보며 협력방안을 논의했고, 일부 기업은 조만간 대구·오송 첨복재단과 비즈니스 미팅 등을 통해 구체적인 공동연구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양성일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그간 첨복에 투자한 신약·의료기기 개발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제약·의료기기 기업이 글로벌 수준의 신약·의료기기를 신속히 개발할 수 있도록 연계지원 시스템을 활성화”할 예정이고,“첨복단지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중심병원과 새로 시작하는 바이오 스타트업 벤처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공동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비즈니스 미팅 등도 정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며“이 밖에도 첨복단지의 성공에 필요한 국가·지자체·기업 등과 공동 연구개발 확대, 국내외 협력·연계 강화, 기업과 동반성장 활성화 등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제3차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