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 회장이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금호그룹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계열사 인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부당하게 타 계열사를 동원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는다.
계열사를 동원해 지배구조 정점에 위치한 금호고속에 저리로 자금을 빌려주고 아시아나 기내식 독점거래를 빌미로 금호고속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무이자로 발행한 혐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금호아시아나 계열사들이 박 전 회장의 그룹재건 과정에 계열사 인수자금 확보에 곤란을 겪은 금호고속을 지원한 행위에 대해 과징금 320억원을 부과하고 박 전 회장과 박홍석·윤병철 그룹 전략경영실 임원, 금호산업, 아시아나항공을 검찰에 고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무리한 인수전’을 했던 금호아시아그룹은 사실상 해체 위기다.
사건의 전말은 이렇다. 시작은 2006년 대우건설 인수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금호아시아나 계열사들이 박삼구 전 회장의 그룹재건 과정에 계열사 인수자금 확보에 곤란을 겪은 금호고속을 지원한 행위에 대해 과징금 320억원을 부과했다고 27일 밝혔다.(사진=공정위)대우건설 인수에 6조4000억원을 투입했지만 글로벌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었고 이후 인수 3년만에 되판다.
그룹 유동성 위기가 커지면서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는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금호석유화학과 아시아나항공은 채권단과 구조조정의 일종인 자율협약을 맺었다.
2009년 회장직에서 물러난 박 전 회장은 이듬해 다시 복귀하며 ‘그룹재건’에 나섰다.
채권단 관리를 받으면서 그룹 장악력이 떨어지자 그는 금호기업(현 금호고속)을 설립해 계열사 인수를 시도하지만 모든 게 뜻대로 되지 않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