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인경제] 수원시의 ‘공유 자전거 사업’이 안착하려면 자전거 인프라를 대폭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원시가 15일 팔달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무인대여자전거 시스템’을 주제로 연 ‘수원 시민의 정부 정책토론회’에서 김진태 자전거문화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지난 1월 실태조사를 한 결과, 수원시의 자전거 인프라는 늘어나고 있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개선을 당부했다.
수원시 도로교통사업소가 주최한 이날 정책토론회는 자전거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와 참가자들의 토론으로 진행됐다. 자전거 동호회 회원 등 시민 50여 명이 참석해 의견을 개진했다.
‘수원형 3세대 공공자전거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김 이사장은 ▲보도 턱·교차로 분리대 등으로 인한 자전거 이용 불편 ▲빗물 방지용 지붕이 없는 자전거주차장 ▲도로 형태에 맞지 않는 자전거도로 표지판 등을 지적하며 “자전 전용도로·차로를 확충하고, 도로에 자전거의 자전거 전용 대기 공간인 ‘바이크 박스’를 만들면 안전 운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진국의 생태교통정책’을 발표한 김성원 ‘숲과 도시’ 이사는 우리나라에 자전거 친화도시가 거의 없는 이유로 ▲자동차 우선 도로정책 ▲열악한 자전거 인프라 ▲레저 중심 자전거 문화 등을 들었다.
김 이사는 “레저 중심 자전거 문화를 실용성에 비중을 두는 문화로 바꾸고, 자전거 이용률보다는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을 높이는 정책을 전개해야 한다”면서 “자전거 친화도시는 공공과 민간 협력으로 만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제3세대 공공자전거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발표한 임신화 드림앤바이크협동조합 이사는 “수원시가 도입하는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이 어떻게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며 ‘발달장애인을 자전거 분산배치 인력으로 채용’, ‘자전거수리센터에 노인 채용’ 등을 제안했다.
수원시는 7월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첨단 IoT(사물 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를 민간사업자 운영방식으로 도입한다.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시스템’은 GPS(위치 파악 시스템), 자동잠금해제, 빅데이터 분석 등 IoT 기술을 결합한 자전거 대여·반납 체계다. GPS가 장착된 자전거는 언제 어디서든 대여·반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으로 주변에 있는 무인대여 자전거를 검색하고, 자전거를 찾으면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한 후 이용할 수 있다. 이용을 마치면 시내 주요 지점에 있는 자전거 주차공간(노면에 표시)에 세워두면 된다. 자전거 거치대, 무인 정보안내시스템이 필요 없다.
민간사업자는 시설 투자를 하고 직접 사업을 운영한다. 자전거 이용요금은 30분에 300원 수준으로 현재 공공자전거 대여요금(보통 1시간에 1000원)보다 저렴하다. 수원시는 새로운 시스템 도입으로 예산을 절감하고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도시교통 문화가 자전거 중심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하면 3000대 기준으로 초기시설 구축비 57억 원, 연간 운영비 17억 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원시는 시 전역에 자전거 주정차 구획을 만들어 사업을 지원한다. 사업자는 자전거 주차장 사용요금을 수원시에 내야 한다.
수원시는 이날 정책토론회에서 나온 전문가·시민들의 의견을 무인대여 자전거사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김철우 수원시 도로교통관리사업소장은 “정책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이 우리 시 공영자전거시스템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 목소리에 귀 기울여 공영자전거 운영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